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당 슬라이드는 키보드(TAB)키로 이동 후 키보드(화살표) 운용,작동 가능한 슬라이드 입니다.
인사이트
High Touch를 통한 High Tech 활용으로 교육 소외계층 아동의 회복탄력성 지원하기
작성자 : 교육기부 작성일 : 2023-07-26 조회 : 895
지원분야, 지원기관, 지원형태,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접수, 제출서류, 커리큘럼 등의 내용을 담은 표
구분 포커스

High Touch를 통한 High Tech 활용으로 교육 소외계층 아동의 회복탄력성 지원하기

: 학생 맞춤형 교육실현

대구대학교 이보람 교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심화된 교육격차

 학생들 간의 교육격차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에도 존재했으며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하지만 재난은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같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불평등을 심화시키듯이(Mutter, 2016), 코로나19 발생 이후에 소외계층 아동의 교육격차와 불평등도 더욱 심화되었다공교육에서는 팬데믹(pandemic) 동안 코로나19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서 원격수업과 대면 수업을 병행하였는데이에 따라 학생들 간의 배움에 격차가 발생했다는 사회적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학생들이 가정 내에서 수업을 듣다 보니 학생 개개인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나 학습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의 차이뿐만 아니라 가정의 물리적심리·사회적 환경이 고스란히 학생들의 배움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이보람이강이, 2021).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에도 학생들 간의 학습격차는 분명히 존재했고그 당시의 격차 역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부모의 교육열과 같은 가정 내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다하지만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학생들이 비교적 균등한 교실 환경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었고교사나 친구가 부진한 학생들을 서로 돕고 다독여가며 학습했기 때문에 학교가 일종의 완충장치 역할을 해주었다(Berkowitz, Moore, Astor,& Benbenishty, 2017). 특히 학교는 인지적 참여에만 국한되는 곳이 아니라 행동적정서적그리고 관계성을 충족시켜 주는 공간이기 때문에(Drane, Vernon, & O’Shea, 2021) 긍정적인 학교 경험은 가정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권연하박세진이현숙, 2021).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등교하지 못했기 때문에 가정환경에 따른 학습격차가 완충장치 없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 HTHT의 적용

 교육부는 비대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추진하여 취약계층 학생들이 온라인 개학에 효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별 피드백 제공담임교사의 보호자 상담대체학습 및 보충학습 계획 마련학생의 원격수업 인프라 구비 및 지원환경 조성을 비롯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처를 강화해나갔다(교육부, 2020a). 또한코로나19의 장기화가 가시화되던 시점인 2020년 8모든 학생들을 위한 교육 안전망 강화방안을 마련하여 방역학습돌봄 등 3대 교육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이 내용 안에는 멘토링 이나 학습 컨설팅 등으로 학습결손과 교육격차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교육부, 2020b). 하지만공교육의 힘만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심화된 학습격차를 해소하기는 쉽지 않다이러한 상황에서 가정학교지역사회의 협력은 필수적이며(김선숙김진숙, 2020), 학교교육청지역사회학부모단체 등 공교육의 안과 밖에서 모두가 힘을 모으는 협력적 접근이야말로 위기 상황에서 소외된 집단을 줄이고 질 높은 교육을 지속할 수 있다(박남기, 2021).

 교육부(2020b)가 발표한 교육 안전망에 학습 컨설팅이나 멘토링 개입이 포함되어 있듯이팬데믹 이후에 지자체와 민간의 비영리 교육단체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다아시아교육협회(ECA)는 2020년부터 여러 지자체와 함께 지역사회의 취약계층 학생들의 돌봄공백 및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학습기와 멘토링을 적용한 HTHT(High Touch High Tech)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1> HTHT(High Touch High Tech) 교육 모델의 개요

 HTHT는 크게 두 가지 지원으로 이루어진다먼저High Touch는 지역사회 내 자원봉사자를 통해 제공되는 멘토링을 의미한다고용중단 여성지역 내 대학에서 상담이나 교육 관련 학과의 재학생마을학교 교사 등이 사전에 멘토교육을 받고개별 멘티의 요구에 맞게 학습지도정서지원진로지도 등을 제공한다그리고 High Tech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학습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개별 멘티들은 학습기를 통해 자신의 학습 수준과 성향에 맞는 1:1 맞춤형 배움을 경험하게 된다다음은 HTHT를 적용한 멘토링의 효과를 평가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이러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HTHT 교육 모델을 찾아 근거기반의 정책(Evidence-Based policy)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 수준별 개별화된 맞춤형 학습으로 성취도 향상평택시의 사례

 경기도 평택시는 관내 저소득 취약계층 학생들이 부모의 소득격차에 따라 교육기회에 불평등을 경험하지 않도록 평택시 스마트스쿨을 마련하였다다음은 평택시 스마트스쿨의 개요이다.

 

☞ 사업기간: 2021년 4월 ~ 2021년 12

☞ 지원대상관내 저소득 및 일반 취약계층 아동·청소년 총 182명 (초등학생 165(90.7%), 중학생 17(9.3%))

☞ 사업내용

  - High Touch(멘토링): 멘토 총 28멘토 1인당 최대 5인의 멘티 배정, 지역아동센터작은 도서관 등의 장소에서 주 2회 1시간

  - High Tech(인공지능 학습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학습 기기 제공 및 개별 학생의 수준과 성향에 맞는 1:1 맞춤형 학습 제공

<그림 2> High Touch를 위한 멘토링

평택시 스마트스쿨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업 참여 전과 후에 학생들의 국어와 수학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였다그 결과 세 가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먼저학생들의 국어와 수학 점수는 사업참여 후에 사전과 대비하여 크게 향상되었다국어는 약 20.13(사전: 52.24사후 72.37), 수학은 약 11.95(사전: 37.25사후: 49.20)이 향상되었다.

 둘째전반적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개선되었지만이는 학생들의 인공지능 학습기의 활용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사업참여 동안의 기기 활용도(출석률과 학습수행률)에 따라 기기 활용이 높은 집단(57%)과 낮은 집단(43%)으로 분류하였는데개입과정에서 AI 학습기를 잘 활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서 높은 국어와 수학 성취도를 보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1> 사업참여 학생의 사전사후 학업 성취도의 차이

 마지막으로사업참여의 효과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연령과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는데구체적으로 중학생과 비교해 초등학생(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앞서 인공지능 학습기 활용도에 따라 나눈 집단에서 기기 활용도가 높은 집단에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이러한 결과는 HTHT가 초등학교 저학년의 연령에 가장 실효성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3> 연령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간의 상호작용 효과


학생의 정서 안정을 바탕으로 한 학습효능감 향상: 대전광역시 서구의 사례

 대전광역시 서구는 관내 저소득 취약계층 학생들의 교육격차 해소와 학습동기 강화를 위해 서람이 AI 학습코칭 사업을 추진하였다다음은 서람이 AI 학습코칭 사업의 개요이다.

 

☞ 사업기간: 2022년 4월 ~ 2022년 12

☞ 지원대상관내 저소득다문화북한이탈조손가정 등 취약계층 초등학생 총 50

☞ 사업내용

  - High Touch(멘토링): 멘토 총 11주 2회 1시간 비대면/대면 멘토링 제공

  - High Tech(인공지능 학습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학습 기기 제공 및 개별 학생의 수준과 성향에 맞는 1:1 맞춤형 학습 제공

 

 「서람이 AI 학습코칭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업참여 전과 후에 학생들의 심리사회적 발달현황과 국어수학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였다그 결과 세 가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먼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사전: 3.21사후: 3.39). 이는 학생들이 사업에 참여하면서 자신을 더욱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학생들의 학습효능감 역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사전: 2.90사후: 3.10). 학습효능감은 학생들이 학업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인 생각으로자신이 공부를 잘 할 수 있다고 믿고 또 새로운 내용을 배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한다마지막으로학생들의 국어와 수학 점수는 사업참여 후에 사전과 대비하여 향상되었다국어는 약 5(사전: 77.46사후 82.81), 수학은 약 13(사전: 61.11사후: 74.32)이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멘토링을 통해 멘토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감정을 조절할 기회를 얻기 때문에멘토나 개인 교사가 정서적 지지를 바탕으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때 학생의 학업성취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Rhodes, Bogat, Roffman, Edelman, & Galasso, 2002). 특히 학생의 연령이 낮을수록 지식의 습득은 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므로(Sulistyaningrum, Sutama, & Desstya, 2021), 팬데믹 상황에서도 학생들이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적인 실재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최형미이동국, 2020). 물론 서람이 AI 학습코칭 사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숫자가 적어서 해석에 유의할 필요는 있다.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 안전망 형성

 지역사회에서 적용한 HTHT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해본 결과인공지능 학습기를 통한 학습지원과 멘토링을 통한 정서지원이 교육 소외계층 아이들의 자아존중감과 학습효능감그리고 학업성취를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러한 결과는 HTHT 아동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모델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외계층 학생들은 교육에 어떠한 기대나 애착이 없는 상태인 학습된 무기력감(learned helplessness)을 높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Brown, Seyler, Knorr, Garnett, & Laurenceau, 2016). 가정 내 자원이 없다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결핍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빈곤에서 비롯된 다양한 어려움은 가정 내 누적된 스트레스(cumulative stressor)로 작용하여 심리사회적 건강성을 떨어뜨리고 부모의 양육 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Evans & Englis, 2002). 그래서 소외계층 아동들의 경우에 일상에서 누구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가 아동의 일상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감을 강화하거나 완충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Brown et al., 2016). 안전한 관계망이 없었던 소외계층 학생들은 멘토나 다른 아동들과 관계를 맺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면서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할 수 있었다그리고 이렇게 확장된 사회적 관계는 사회적 안전망의 역할을 대체하여 기능하게 되었다아이들은 이러한 사회적 안전망 속에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끼고자아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회복하게 되었다특히 아이들이 일상을 보내는 지역사회에서 함께 생활하는 멘토를 통해 연결된 사회적 관계는 신뢰감과 유대감을 형성하며 더 큰 공동체가 될 수 있었다어떠한 위기를 극복하고 더 나은 상태로 나아갈 힘을 주는 회복탄력성 (resilience)은 개개인이 가진 내적인 힘뿐만 아니라 서로 믿고 지지해주는 공동체의 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교육격차는 다양한 원격교육 플랫폼과 콘텐츠 개발인공지능기술 적용 등과 같은 에듀테크 기술의 활용을 가속화하고 있다에듀테크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인공지능기술인 High Tech 기반의 학습가치와 중요성을 확산시키며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아시아교육협회에서 주도하고 있는 HTHT는 High Tech를 활용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멘토의 High Touch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소외계층 아동·청소년의 정서지원과 학습지원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성공적인 교육복지 모델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교육부(2020a).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2020. 03. 27.), https://www.moe.go.kr/sn3hcv/doc.html?fn=5ef226dc1c945b15474cf3415bd0ae79&rs=/upload/synap/202304/에서 인출.

교육부(2020b). 모든 학생들을 위한 교육안전망 강화방안 마련(2020. 08. 11.),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81535에서 인출.

권연하박세진이현숙(2021).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코로나 19 발생 이후 교육격차의 쟁점 분석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625-644.

김선숙김진숙(2020). Covid 19 상황에서 학교와 지역 사회 협력에 대한 기대아동복지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학교사회복지, 52, 203-229.

박남기(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 새 패러다임 탐색한국초등교육, 32(2), 17-32.

이보람이강이(20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로 인한 공교육 원격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자녀교육 지원현황가정과삶의질연구, 39(2), 63-78.

최형미이동국(2020).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1047-1071.

Berkowitz, R., Moore, H., Astor, R. A., & Benbenishty, R. (2017). A research synthesi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oeconomic background, inequality, school climate, and academic achievemen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7(2), 425-469.

Brown, E. D., Seyler, M. D., Knorr, A. M., Garnett, M. L., & Laurenceau, J. P. (2016). Daily povertyrelated stress and coping: Associations with child learned helplessness. Family Relations, 65(4), 591-602.

Drane, C. F., Vernon, L., & O’Shea, S. (2021). Vulnerable learners in the age of COVID-19: A scoping review. The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48(4), 585-604.

Evans, G. W., & English, K. (2002). The environment of poverty: Multiple stressor exposure, psychophysiological stress,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3(4), 1238-1248.

Mutter, J. (2016). Opportunity from Crisis: who really benefits from post-disaster rebuilding efforts?, Retrieved from https://www.foreignaffairs.com/articles/2016-04-18/opportunity-crisis.

Rhodes, J. E., Bogat, G. A., Roffman, J., Edelman, P., & Galasso, L. (2002). Youth mentoring in perspective: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2), 149-155.

Sulistyaningrum, R., Sutama, S., & Desstya, A. (2021). Analysing skills of planning, conduct, and assessment in teachers during online mathematics teaching. Profesi Pendidikan Dasar, 8(1), 63-74.